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경관88

[TIL] : 158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오늘 개인 프로젝트 뼈대 구성하고 자동 배포를 설정해 보려고 했으나 반만 성공했다. 2022.04.02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프론트 뼈대 잡기와 Jenkins 재도전 하기 CS 지식 큐와 우선순위큐에 대해 알아보고 서로 비교해봤다. 2022.04.02 - [노트/CS 노트] - [CS 노트] : Queue와 Priority Queue 비교 스터디 토요일은 스터디를 하는 날이다. 7일간 공부한 내용을 잘 발표하고 끝난 뒤 간단하게 공부한 내용 리뷰하고 마쳤다. 2022.04.02 - [발전소/동아리 및 스터디] - [코딩 스터디 2기] : 5주차 2022. 4. 2.
[소경관] : 프론트 뼈대 잡기와 Jenkins 재도전 하기 오늘의 목표 큰 페이지들 연동 다 하고 진입까지 완료하기 작은 페이지들 생성해 두기 CI/CD 적용 다시 시도해 보기 문제 발생 시 체크해 두기 큰 메뉴 완성하기 내가 계획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메뉴는 이런 식이다. 로그인 페이지를 기본으로 로그인 후 입장이 가능하고 메인 페이지에서 세부 큰 페이지로 나눠지고 그 큰 페이지에서 작은 페이지로 나눠진다. 오늘은 큰 페이지를 만들었다. 이게 지금 로그인 후 들어오는 메인 페이지인데 이 메인 페이지에는 사용 설명을 간단하게 올릴 예정이다. 아직 수정하지는 않았다. 프로젝트 네임을 적어두고 홈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걸어뒀다. 큰 메뉴들이다 큰 메뉴 선택시 이동이 가능하다. 나중에 빨리 완성되면 이동된 탭의 이름에 효과를 주는 것도 고려중이다.(밋밋하다는 생각.. 2022. 4. 2.
[소경관] : 프로젝트 진짜 시작 ! DB구축과 연동 그리고 CI/CD 고민.. 오늘 학교에서 개발 설계 산출물을 가지고 프로젝트 발표를 잘 마쳤다. 교수님이 “기능은 충분한데 너는 더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더 넣으면 안되나?”라는 식으로 말씀하셨고..나는 일단 지금 있는 기능이나 똑바로 잘 하고 싶어서 최대한 거절했다.. 변경 사항에 대해서.. 교수님이 도커는 이제 쿠버네티스에서 지원을 안 해서 별로인 것 같다고 빼라고 하셨고 도커가 빠지게 되었다. 그래도 최근에 공부한 내용인데 아쉽긴 하다. 쿠버네티스만 사용하는 것은 아직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도커도 마찬가지긴 하지만..)어려울 것 같다. 혼자 공부한새로 배운 다른 기술도 많이 적용하려 한다. JPA, Gradle, CI/CD, Thymeleaf 등등.. 이것들도 프로젝트에 적용은 처음인데 쿠버네티스까지 하면 시간을 못 맞.. 2022. 3. 31.
[소경관] : 개발 설계 산출물 완성 및 제출 개발 설계 산출물 완성 ! 설계 산출물을 드디어 완성했다. 메뉴 구조도에 대한 설명을 추가했고 다른 페이지도 마찬가지로 화면 아이디를 메인으로 쭉쭉 사용해 보는 느낌으로 작성했다. 일단 완성된 화면설계서와 산출물을 제출했고 내일 발표가 있다. 발표 후 피드백을 다시 받고 문제가 없다면 실 개발 스타트가 될 예정이다. ERD가 줄었다? 그 전에 복잡하게 구상하고 있던 ERD를 줄였다. 대부분의 데이터를 MongoDB로 구현하려고 했기 때문에 간단한 회원 정보만 입력하고(사실 회원 가입이 없어도 되지만.. 구현 경험을 위해 일단 넣었다. 나중에 다른 방향으로 사용해도 되고..)넘어간다. https://ohju96.notion.site/e76cef85fe82425cac4b4e754b6e308c 개발 설계 산출.. 2022. 3. 30.
[TIL] : 154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서류 작업을 먼저 하게 되었는데 이제 곧 마무리가 될 것 같다. 당장 이번주 목요일 부터는 발표가 잡혀있다. 2022.03.29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화면 설계서 마무리 단계에 돌입했다. CS 지식 Array와 Linked List에 대해서 확실한 복습과 학습을 진행하고 있다. 공부를 하고 같이 공부하는 동기에게 설명하면서 공부하고 있는데 역시 이런 방법이 제일 좋다. 2022.03.29 - [노트/CS 노트] - [CS 노트] : Array와 Linked List를 비교하면 어떤가? Spring Boot 멜론 차트 크롤링하는 토이 프로젝트를 만들고 있다 지금 데이터 전체를 가져오는 것 까지 .. 2022. 3. 29.
[소경관] : 화면 설계서 마무리 단계에 돌입했다. - 발표를 한다고 해서 표지를 준비했다. 가능하면 이쁘게 하는 게 좋긴 하지만 차라리 잘 못 꾸밀 거라면 깔끔하게 하는 게 좋을 것 같다. 원래 튜닝의 끝은 순정이라고 하지 않던가.. 간단하게 학우들에게 내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간단한 안내 멘트들을 적어봤다. 당장 오는 목요일에 발표하는데 연습도 좀 하고 스터디를 통해 한 발표 연습이 도움이 되고 있길 바란다. 사실 긴장감이 전에 발표한다고 마음 먹었을 때 보다 훨씬 줄어든 것을 체감하고 있다. 화면 설계서에 디자인은 들어가지 않았다. 레이아웃이라고 해야 하나. 전체적으로 어떻게 어떤 기능을 배치할지에 대해 생각하고 만들고 있다. 딱 이 모양대로 만드는 게 아니라 이런 구조, 이런 배치를 생각중이다. 정도를 전달할 수 있을 것 같다. 이단 메뉴.. 2022. 3. 29.
[소경관] : 화면 설계서 작성과 엑셀을 어떻게 JSON으로 가져올지에 대해.. 어떻게 작성하나? 화면 설계서를 어떻게 작성할까 고민을 많이 하고 있었다. 진짜 내가 개발 할 프론트 레이아웃을 적용해서 해야 하는지,? 혹은 템플릿 수준으로만 만들어 둘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었다. 설명을 위한 템플릿은 이렇게 표로 간단하게 구성했고 일단 로그인을 위한 페이지를 간단하게 만들고 있다. 아무래도 디자인은 적용되지 않은 모습으로 만들어 볼 예정이다. 채색을 하기 전 스케치 버전으로 생각하면 된다. 테이블 명세서와 ERD 작성은 어디갔나? 테이블과 ERD에 대한 고민이 있다. 먼저, MariaDB와 MongoDB를 사용할 예정인다. 사용자(경비원) 정보는 RDB로, 차량에 대한 정보(차량주인, 전화번호, 주소, 차량번호)는 엑셀로 받아서 JSON으로 MognoDB에 저장하는 것을 생각중이긴 한.. 2022. 3. 26.
[TIL] : 149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Spring Boot 멜론 차트 1~ 100순위를 MongoDB에 저장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아직 코드를 다 작성하지 못 해서 설명을 남기진 못 했으나 내일 안으로 완성해서 코드를 적어 올릴 예정이다. 강연 및 세미나 OKKY에서 주최하는 세미나에 참여했다. 이제는 거의 주기적으로 매 번 참여하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 최신 기술에 대한 정보나 내가 원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얻을 때 잡지를 많이 봤는데 요즘에는 영상이나 이런 세미나 참여 기회가 잦아지면서 질의응답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매체를 추구하게 되었다. 2022.03.24 - [발전소/강연 및 세미나] - [강연 및 세미나] : 서비스 개발자로 커리어 전환하기 by 와이즐리컴퍼니 현철 CTO .. 2022. 3. 24.
[소경관] : 개발 설계 산출물 작성(2) 개발 설계 산출물 작성기.. 아이디어 체크 ! 교수님에게 아이디어 체크를 받았다. → “아, 그러면 자동차 번호판을 인식하는 이미지 인식을 넣으면 될까요?”→ “네, 알겠습니다.” → “그 정도는 되도 생각해 볼까, 말까인데 일단 해 봐.” → “기능이 부족하다, 거의 게시판이잖아” 간단한 대화를 통해 기능 부족 판정을 받고 기능을 추가했다. 기능 추가 번호판 이미지 인식 엑셀 파일을 불러와 차량 정보 등록 이렇게 두 가지 기능을 넣기로 했다. 개발 설계 산출물 다시 작성!? 기능이 바뀌면서 어제 조금 작성한 메뉴구조도, 프로그램명세서가 바뀌었다. 메뉴구조도, 프로그램명세서, WBS를 작성했다. 기능을 추가하고 기능 이름을 살짝 정비했다. 기간은 일단 임의로 작성해 두긴 했는데 하면서 수정을 거쳐야 할 .. 2022. 3. 24.
[TIL] : 63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파이썬 파이썬 머신러닝 책을 오늘도 공부했다. 이 책 앞 부분은 데이터 분석 파트를 다루고 있는데 지금 내가 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매우 도움이 된다. 2021.12.28 - [프로그래밍언어/Python] - [Python] : [파이썬 머신러닝 실무 테크닉 100] : 마스터 데이터를 조인하자 2021.12.28 - [프로그래밍언어/Python] - [Python] : [파이썬 머신러닝 실무 테크닉 100] : 마스터가 존재하지 않는 코드에 이름을 설정하자 알고리즘 오늘 파이썬으로 알고리즘을 풀었다. 2문제 풀었고 강의를 참고해 가면서 풀었다. 혼자 머리잡고 오래 고민하는 것도 좋지만 일단 파이썬에 그렇게 익숙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강의를 먼저보고 풀어.. 2021. 12. 28.
[소경관] : Flask를 통한 Pandas 라이브러리 데이터 분석 활용 Flask를 통한 Pandas 라이브러리 데이터 분석 활용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static_url_path='/resource') @app.route("/test") def spring (): return "Flask Server" @app.route("/data") def data():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m_store = pd.read_csv('C:\git\Parking_management_Project\Flask_data\source\주현아파트.csv') m_store.loc[m_store['차량 수'] == "", '설명'] = '차량 수 등록이 안 되어 있습니다.' m_store.lo.. 2021. 12. 28.
[TIL] : 62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프로젝트를 어떻게 구체적으로 해야 할 지 고민하면서 우선 머신러닝을 활용하기 위해 Flask 서버와 통신하는 것 부터 진행했다. Flask 서버가 돌아가는 것 까지 확인하고 아직 Spring에서 파일 넘겨주는 파트는 구현하지 못 했다. 생각보다 고민에 시간이 많이 들어간다. 오류노트 Spring Framework에서 tomcat Server를 돌리는데 web.xml에서 오류가 떠서 해결하는 과정을 남겼다. 2021. 12. 27.
[소경관] : Flask Server 구현 소경관 프로젝트를 생각하면서 굳이 사용이 필요가 없더라고 배운 머신러닝을 활용해 적용하고 싶었다. 그래서 생각한게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csv 파일을 받고 그것을 플라스크 서버를 통해 파이썬 프로젝트로 넘겨준 뒤 파이썬 프로젝트에서 머신러닝을 통해 (굳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이터 가공을 하고 데이터를 가공한 것을 다시 플라스크 서버를 통해 스프링 프레임워크로 넘겨줘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아직 내가 이것을 제대로 구현해 본 적이 없어서 가능한 일인지 모르겠지만 시작했고 우선 플라스크 서버먼저 구현했다.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spring (): return "Flask Server" if __nam.. 2021. 12. 27.
[소경관] : Clean Code 적용 클래스 생성 및 UserDTO 생성 Clean Code 적용 클래스 생성 및 UserDTO 생성 클린 코드에서 클래스 명 적용하는 방법을 공부한대로 적용해 봤다. 간단하게 DTO도 등록했고 프로젝트를 좀 더 구체화 시킨 뒤 진도를 나가야 할 것 같다. 2021. 12. 26.
[TIL] : 60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갑자기 바뀐 사항에 대해 정리했다. 머신러닝 파이썬 머신러닝 책을 읽으면서 기초에 대한 실습은 가능하면 다 진행하려 한다. 기초를 오늘도 진행했고 공부하고 정리했다. 메리크리스마스 오늘은 크리스마스다. 공부는 이따 저녁에 조금 더 하던가 하고 일단은 여기서 마친다. 요즘 공부하는 책 두 권을 맨날 번갈아보면서 천천히 읽으니까 살짝 답답해서 스프린트에 대한 독서용으로 읽을 책을 서점에서 구매할까 한다. 책이 비싸지기도 했고 동영상 강의나 책이나 지식을 배우는데 돈을 아끼는 스타일이 아니지만 책 두 권만 사도 요즘은 6만원이다.. 너무 비싸서 책을 고르는 게 전보다 더 신중해졌다. 구독하는 책 어플은 대부분 소설이나 베스트 셀러 .. 2021. 12. 25.
[소경관] : 프로젝트 새로운 셋팅 및 다시 적용한 암호 Util 프로젝트 새로운 셋팅 및 다시 적용한 암호 Util 최근 log4j 관련 이슈 때문에 교수님이 프로젝트 파일을 교체하라고 공지가 내려와서 어제 교체하고 잤는데 생각해보니 아주 조금이지만 내가 해놨던 암호화 알고리즘 유틸 부분을 새로 추가해야 했다. 저번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록해둔 Notion을 확인하고 오늘 추가 수정과 테스트를 완료했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다. 개발 진행이 늦는 이유 머릿속에서 구체화 된 것이 없다. 아이디어는 풀어서 설명을 할 수 있지만 사실 그 단서들을 이어 줄 짜잘짜잘한 무언가가 아직 잘 생각이 나질 않는다. 아무래도 학교에서 요구하는 WBS 문서 양식을 받으면 WBS를 먼저 작성하면서 아이디를 구체화 시키고 그 뒤에 본격적인 개발을 시작하는 게 좋을 것 같다. 그.. 2021. 12. 25.
[소경관] : Ubuntu 18.04.05에 MongoDB 설치 내용 요구 사항 변경으로 인해 MySQL → NoSQL 구현을 진행한다. 참고 링크 ← Click ! Ubuntu에서 MongoDB 설치와 셋팅을 진행한다. 코드 & 설명 Install MongoDB Community Edition on Ubuntu Ubuntu에 MongoDB를 설치하기 위해 MongoDB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hostnamectl 명령어를 통해 Ubuntu 버전을 확인한다. 18.04.5 버전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에 맞는 MongoDB를 설치해 준다. 몽고 커뮤니티 버전 설치 | Ubuntu 18.04.ver wget -qO - | sudo apt-key add - MongoDB 공개 GPG 키를 가져온다. GPG는 GnuPg이기도 하다. GPG가 뭔지 잘 몰라서 찾아.. 2021. 12. 23.
[소경관] : 프로젝트 진행 중 요구 사항 발생 ! 프로젝트 진행 중 변경 사항 발생(중요) 이 소경관 프로젝트는 개인 프로젝트이기도 하지만 학교에 제출해서 평가받는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보통 학교에서 1학기 시작할 때 교수님이 요구 사항을 주신다고 했는데 2학년 선배들에게 들어 미리 전년도와 비슷한 맥락의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있었다. 대충 내용은 API 2개 이상 활용, 기본 기능만 있어선 안 됨 정도만 들었는데 오늘 요구 사항이 나왔다. ○ 평가방법 -------------------------------------------------------- 1. 설계산출물 중 WBS에 정의된 항목에 대해 100% 구현 - 구현 : 교수 평가에 따라 A-D까지 학점 부여 - 구현 못함 : F학점 부여 ---------------------------------.. 2021. 12. 23.
[소경관] : UserDTO 코딩 및 DTO 등록 UserDTO 코딩 및 DTO 등록 DTO 등록을 해줬다. package poly.dto; /* * @author 오주현 * @version 0.1 user_info DTO */ public class UserDTO { private String user_seq; private String user_email; private String user_pw; private String user_name; private String user_address; public String getUser_seq() { return user_seq; } public void setUser_seq(String user_seq) { this.user_seq = user_seq; } public String getUser_em.. 2021. 12. 22.
[소경관] : user_info 테이블 생성 및 컬럼 추가 user_info 테이블 생성 및 컬럼 추가 아직 데이터 베이스 모델링이 완성되지 않았다. 더 이상 프로젝트 진행을 미룰 수는 없다고 생각해 우선 쉽게 만들 수 있는 사용자인 user_info에 관한 정보를 만들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사용한 SQL Query는 vi를 통해 텍스트를 프로젝트에 남겨두기로 했다. 이렇게 생성 내용을 주석과 함께 남겨놨다. 나머지 파트는 후에 이어나가기로 한다. 2021. 12. 22.
[TIL] : 55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프로젝트 진도 좀 나가봤다. 비밀번호를 암호화 하기 위해 단방향 해시 알고리즘인 SHA-256 암호화 알고리즘과 그 외 이메일 주소 같은 부분을 암호화 하기 위해 양방향 암,복호화 알고리즘은 AES128-CBC 암,복호화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테스트해서 통과시켰다. 2021.12.20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SHA-256 암호화 알고리즘, AES128-CBC암,복호화 알고리즘 적용 오류 노트 소경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있었는데 Run 실행이 안 되는 오류가 터졌다. 구글링하여 고치고 방법을 기록했다. ' 2021.12.20 - [컴퓨터 공부/오류 노트] - [오류 노트] : 오류: 기본 클래스 poly.. 2021. 1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