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il242

[T.I.L] : 15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PaaS-Ta PaaS-Ta에서 파일을 분산 저장해 봤습니다. for문으로 데이터를 넣었을 때 여러 서버에 분산되어 저장됩니다. 2021.11.09 - [컴퓨터 공부/PaaS-Ta] - [PaaS-Ta] : MongoS 프로세스 [PaaS-Ta] : MongoS 프로세스 Mongos 프로세스 mongo --host localhost --port 50001 구축된 config 서버 중 하나의 서버에 접속하여 각 Config 서버를 Replica Sets로 클러스터링 합니다. rs.initiate( { _id : "rptconfig", configsvr : tr.. ohju.tistory.com MongoDB Sharding을 구축하고 Replica Sets.. 2021. 11. 9.
[T.I.L] : 14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알고리즘 알고리즘은 동적 계획 알고리즘, 플로이드 알고리즘 기초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동적 계획 알고리즘은 입력 크기가 작은 부분들을 해결하고 그 해들을 이용해 보다 큰 크기의 부분 문제들을 해결하여 최종적으로 원래 주어진 입력의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입니다. 2021.11.08 - [Algorithm/알고리즘] - [알고리즘] : 동적 계획 알고리즘 및 플로이드 워샬 알고리즘 기초 [알고리즘] : 동적 계획 알고리즘 및 플로이드 워샬 알고리즘 기초 동적 계획 알고리즘 ( Dynamic Programming (DP) ) 입력 크기가 작은 부분 문제들을 해결하고 그 해들을 이용해 보다 큰 크기의 부분 문제들을 해결하여 최종적으로 원래 주어진 입력의 문제를.. 2021. 11. 8.
[T.I.L] : 13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식별자 식별자는 엔터티 내에서 인스턴스를 구분하는 구분자입니다. 데이터 모델링을 공부하면서도 자주 나왔지만 SQLD 시험을 보기 위해선 꼭 알아야 하는 부분입니다. 2021.11.07 - [자격증/SQLD] - [SQLD] : 식별자 [SQLD] : 식별자 식별자 식별자는 엔터티 내에서 인스턴스를 구분하는 구분자입니다. 식별자는 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 사용하고 Key는 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 사용합니다. 특징 유일성 : 주식별자에 ohju.tistory.com - 21년11월07일 작성 후 완료가 안 눌리는 실수가 있었습니다.. 2021. 11. 8.
[T.I.L] : 12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어제 데이터 모델링을 공부하면서 어려운 점이 있었고 이 참에 SQLD 공부도 같이 하면서 엔터티의 개념과 분류에 대해 정리를 했습니다. 2021.11.06 - [자격증/SQLD] - [SQLD] : 엔터티 [SQLD] : 엔터티 엔터티 엔터티는 업무에 필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기 위한 집합, 보이지 않는 개념입니다. 특징 1.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해야 합니다. 2. 유일한 식별자에 의 ohju.tistory.com 2021. 11. 6.
[T.I.L] : 11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모델링을 진행하면서 복습과 3차 정규화를 알아봤습니다. 3차 정규화는 2차 정규화를 만족하고 식별자를 제외한 나머지 속성들 간의 종속이 존재하면 안 됩니다. 3차 정규화는 UID Bar가 없는 관계를 상속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UID Bar를 만들면 식별자가 바뀌는 문제가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작성한 글을 참고하면 됩니다. 2021.11.05 - [Data Base/DA#] - [DA#] : 3차 정규화 [DA#] : 3차 정규화 복습 정규화 논리 데이터 모델을 일관성이 있고 안정성 있는 자료구조로 만드는 단계입니다. 정규화 의미 - 입력 이상 # 릴레이션에 새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해 원치않는 불필요한 데이터도 함 ohju.tis.. 2021. 11. 5.
[T.I.L] : 09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Spring Framework Rest 기반 Open API 서버 구현을 했습니다. 톰켓과 톰켓을 통신합니다. 2021.11.03 - [Framework/Spring Framework] - [Spring Framework] : Rest 기반 Open API Server 구현 (1부) [Spring Framework] : Rest 기반 Open API Server 구현 (1부) DB에 테이블을 만들어주고 값을 넣어줍니다. 복합키를 주고 각 데이터의 크기와 형식을 정해주고 간단한 주석을 넣었습니다. 데이터 베이스에 값도 넣어줍니다. 전에 만들어둔 프로젝트를 복사 ohju.tistory.com 2021.11.03 - [Framework/Spring Framew.. 2021. 11. 3.
[T.I.L] : 08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몽고디비에서 샤딩 시스템과 파스타 BOSH 설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직 막히는 부분이 있어서 파트를 나눠서 공부하고 있고 노트북 사양이 부족해서 중간에 삭제하고 데스크탑으로 다시 설치하고 실행 중에 있습니다. 2021.11.02 - [Data Base/NOSQL] - [NOSQL] : 샤딩 시스템 (Sharding System) 1부 [NOSQL] : 샤딩 시스템 (Sharding System) 1부 샤딩 - 빅데이터 환경은 수많은 데이터를 빠른 시간에 수집 및 저장할 수 있어야 합니다. 때에 따라서는 분산, 집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통계 정보로 가공할 수도 있어야 합니다. 이런 시스템 ohju.tistory.com 2021. 11. 2.
[T.I.L] : 07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알고리즘 알고리즘 기초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알고리즘을 코드로 바꾸는 것 보다는 알고리즘 자체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2021.11.01 - [Algorithm/알고리즘] - [알고리즘] : 알고리즘 기초 설명 [알고리즘] : 알고리즘 기초 설명 그리디(greedy) 알고리즘 -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입니다. - 욕심쟁이, 탐욕 알고리즘으로도 불립니다. - 데이터 간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수행 과정에서 욕심내어 최소값 또는 최대값 ohju.tistory.com PaaS-Ta 파스타 컴퓨팅에서 ubuntu를 설치하고 BOSH를 설치하는 환경 설정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NOSQL MongoDB를 위한 Data Modeling을 공부.. 2021. 11. 1.
[T.I.L] : 06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스프링을 하면서 Mapper 단에 쿼리를 잘 써야겠다는 생각에 데이터 베이스를 다시 공부했습니다. 오라클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해서 Scott 사용자를 활성화 시키고 타이핑을 치다 정리 좀 해 둬야겠다 싶어서 처음부터 체크하면서 정리합니다. - 2021.10.31 - [Data Base/SQL] - [SQL] : 데이터 딕셔너리 및 테이블 구조 확인 [SQL] : 데이터 딕셔너리 및 테이블 구조 확인 OracleDB를 사용하고 Scott 사용자를 활성화 시켜서 실습합니다. SQL은 대문자와 소문자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본인 알아서 대,소문자 구분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데이터 딕셔너리 TAB SELECT * FROM TAB ohju.tistory.com 2.. 2021. 10. 31.
[T.I.L] : 04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오피니언 마이닝 자바 스프링으로 오피니언 마이닝을 연습했습니다.' 데이터 사전에 데이터를 넣고 어절 단위로 문장을 끊어 읽어 들이며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JSON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2021.10.29 - [Framework/Spring Framework] - [Spring Framework] : 오피니언 마이닝, Opinion Mining (긍정 및 부정 분석) [Spring Framework] : 오피니언 마이닝, Opinion Mining (긍정 및 부정 분석) 오미니언 마이닝 - 형태소 분석은 품사를 뽑아내어 형태소의 어근, 어미를 파악하는 것으로 한국 밖에 없습니다. - 데이터 사전 # 다양한 단어들이 모인 집단입니다.. 2021. 10. 29.
[T.I.L] : 01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웹 수집 (크롤링) 크롤링은 HTML에 접근해 텍스트를 읽어 들이는 방법으로 HTML 태그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합니다. CGV 영화 순위를 크롤링 해오는 실습을 했는데 HTML을 보면서 어느 단에서 끊어서 가져와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제일 어려웠습니다. 예제를 참고하면서 코딩을 해 데이터 끌어오는 것은 성공시켰지만 아직 예제 없이 혼자 코딩을 하기엔 많이 부족하고 코드의 흐름과 각 중요 부분의 역할도 제대로 알지 못 하지만 이것도 반복해서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과적으론 오늘 예제를 학습하면서 크롤링에 성공을 하긴 했습니다. 아직 부족한 부분은 더 학습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https://ohju.tistory.com/37 [스프링 프.. 2021. 10.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