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65

3 . 백준_2753_윤년 (Python, 파이썬) 윤년 - https://www.acmicpc.net/problem/2753 2753번: 윤년 연도가 주어졌을 때, 윤년이면 1, 아니면 0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윤년은 연도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닐 때 또는 400의 배수일 때이다. 예를 들어, 2012년은 4의 배수이면서 www.acmicpc.net - a = int(input()) if (a%4==0 and a%100!=0 or a%400==0): print("1") else: print("0") 입력 할 년도를 input()을 통해 받고, 윤년의 조건을 if문에 and, or 연산자를 넣어 풀었습니다. 2021. 9. 21.
3 . 프로그래머스_두 정수 사이의 합 프로그래머스_두 정수 사이의 합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12 - 의사 코드 조건문으로 a, b값 크기 차이에 따른 경우의 수를 모두 잡고 둘 다 for문을 사용해 전역변수에 값을 누적시켰습니다. - 정답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long solution(int a, int b) { long answer = 0; long hap = 0; if(a 2021. 9. 20.
14 . 코딩 테스트 알고리즘 문제를 풀기 시작하다. 요즘 파이썬도 추가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파이썬 문법이 쉽고 재미있어서 조금 더 익숙해 질겸 백준 페이지에서 알고리즘 문제를 파이썬을 활용해 풀고 있습니다. 블로그에 기록도 가능한 꾸준히 남길 예정입니다. 2021. 9. 17.
2 . 백준_9498_시험 성적 (Python, 파이썬) 시험 성적 - https://www.acmicpc.net/problem/9498 9498번: 시험 성적 시험 점수를 입력받아 90 ~ 100점은 A, 80 ~ 89점은 B, 70 ~ 79점은 C, 60 ~ 69점은 D, 나머지 점수는 F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 num = int(input()) if num >= 90 : print('A') elif num >= 80: print('B') elif num >= 70: print('C') elif num >= 60: print('D') else: print('F') num에 int로 input을 받아왔습니다. input은 문자열로 값을 받아와서 정수로 사용하려면 형변환을 꼭 해줘야 합니다. 그 뒤에는 if문을 통해 .. 2021. 9. 17.
1 . 백준_1330번_두 수 비교하기 (Python, 파이썬) 두 수 비교하기 - https://www.acmicpc.net/problem/1330 1330번: 두 수 비교하기 두 정수 A와 B가 주어졌을 때, A와 B를 비교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 A,B = map(int, input().split()) if A>B: print(">") elif A 2021. 9. 15.
2. 프로그래머스_직사각형 별찍기(Java) 프로그래머스_직사각형 별찍기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69 - 의사 코드 예시에서 5, 3 순서로 입력했을 때 좌우로 찍히는 게 b 위,아래로 찍히는 게 a, for문에서 위, 아래를 담당하는 첫 for문에 a까지라는 조건 넣고 두번째 for문에 좌에서 우로 찍히는 조건을 넣어주고 코드화 했습니다. - 정답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a = sc.nextInt(); int b = sc.nextInt(); for(int i=.. 2021. 9. 12.
1 . 프로그래머스_짝수와 홀수(Java) 프로그래머스_짝수와 홀수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37 - 의사 코드 가짜 코드라는 의사 코드를 먼저 작성해 보는 습관을 가지기로 했습니다. 간단한 문제 먼저 풀어봤는데 의사 코드는 따로 형식이 없기 때문에 편하게 적을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 정답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int num) { String answer = ""; if(num%2==0){ answer = "Even"; } else { answer = "Odd"; } return answer; } } 가장 쉬운 문제부터 천천히 시작하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쉬운 문제부터 정복해 나가겠습니다. 2021. 9. 6.
13 . 공모전 마무리 작업에 들어가다. 한이음은 다음 달 부터 마무리 작업에 들어 갈 것 같고 임베디드 공모전은 이제 슬슬 마무리 작업에 들어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카카오 로그인 부분이 사이즈 조절이 애매해서 이 부분을 수정했고, 로그아웃 할 때 뜨는 알림창도 영어로 표기되서 한국어로 수정해 주는 작업을 했습니다. 내일까지 알림창 이벤트 생성하는 작업과 모달로 알림을 띄워주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아직 접해보지 못 한 부분도 있기 때문에 구글링을 통해 오늘 좀 알아보고 내일 마저 해결해야 할 것 같습니다. 남은 팀원의 개발 환경 셋팅은 왜 인지 해결을 잘 못 하고 있는 상태지만 언제까지 봐주고 있을 수 없어서 다른 팀원하고 둘이 먼저 시작했습니다. 2021. 9. 6.
12 . 팀원 개발 환경 셋팅과 개발 진도 회의를 진행하다. 공모전 팀장님과 회의를 한 결과 추가 팀원의 개발 환경 셋팅을 이번주 내로 마무리해 달라는 부탁을 받았습니다. 아침에 수업듣기 전에 팀원 한 명의 컴퓨터 셋팅을 확인하고 깃 클론과 프로젝트 셋팅을 도와줬으나 시간 부족으로 실패하였고 나중에 마무리 하기로 했습니다. 데이터 모델링 연습을 하고나서 또 다른 추가 팀원의 컴퓨터 셋팅을 도와줬는데 이번에도 시간 부족으로 실패했고 오늘 늦은 저녁에 도와주기로 했습니다. 사람이 많으면 일거리 부담이 줄겠지만 서로 시간이 맞지 않으면 참 어렵다는 것을 다시 느끼게 됐습니다. 서로 시간 조율을 잘 하면서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이번주 내로는 추가 팀원들의 개발 환경 셋팅에 집중해서 알려줘야 할 것 같습니다. 2021. 9. 3.
01 . DA# Modeler5 테이블 만들고 PK 설정과 서브 타입 설정하기. DA# Modeler5 버전을 다운받았습니다. 간단한 테이블 만들기 실습을 합니다. 실행을 시키고 첫 화면입니다. 좌측 상단에 모델 추가를 눌러 줍니다. 아직은 프로젝트를 할 게 아니라 간단한 연습만 할 예정이라 프로젝트 추가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름과 물리 모델 유형을 선택해 줍니다. 오라클을 보통 사용해서 오라클로 선택을 했지만 리스트에 mysql 등 여러 물리 모델 유형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파일을 추가하면 좌측 처럼 파일들이 생깁니다. 주제 영역에 논리와 물리가 생성되는 것도 볼 수 있습니다. 좌측 상단 메뉴에서 옵션 버튼을 눌러줍니다. 여기에서 기본 설정들을 바꿀 수 있습니다. 아직은 사용할 일은 없지만 나중에 본인에 맞춰 이것 저것 편리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제영.. 2021. 9. 3.
01 . 파이썬의 특징과 활용 및 정의. 파이썬은 1990년 귀도 반 로섬이 개발한 인터프리터 언어입니다. 인터프리터 언어는 Java나 C처럼 컴파일러를 사용하지 않고 한줄 한줄 바로 원시코드를 실행시켜서 사용합니다. 구글에서 만들어진 소프트웨어의 50% 이상이 파이썬이라고 하며 드롭박스나 Django도 파이썬으로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파이썬은 공동 작업과 유지 보수가 쉽고 편합니다. - 파이썬은 인간다운 언어이고 문법이 쉬운 편이라 빠르게 배울 수 있습니다. 에릭 레이먼은 파이썬을 공부한지 단 하루만에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했다고 합니다. 파이썬은 무료이고 C와 궁합이 좋습니다.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뼈대는 파이썬으로 만들고 빠른 실행 속도를 필요로 하는 부분은 C로 만들어 파이썬 프로그램 안에 포함시킵니다. ( 파이썬 라이브러리 중 C.. 2021. 9. 1.
11 . 공모전과 팀 프로젝트 인원을 정하고 git을 알려주다. 학교에서 2학기 과제로 팀 프로젝트를 하도록 했는데 공모전을 하고 있는 사람들은 공모전 프로젝트로 제출해도 된다고 해서 팀원을 다시 구했습니다. 저는 한이음 공모전으로 나가서 괜찮지만 임베디드 공모전에 같이 참여하고 있는 팀원 한 명이 다른 팀원을 구하도록 도와주고 해당 팀원들이 사실상 같이 임베디드 공모전의 남은 개발 부분을 같이 개발해 나갈 것 이기 때문에 협업을 위해 Git 사용법을 알려주었는데 조금 어려운 부분이 있었습니다. 사람마다 컴퓨터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뜨는 오류도 제 각각이고 자바 버전이나 이클립스 버전 등 여러 문제가 많아 프로젝트 셋팅하는 도중 중지하고 다시 해결법을 찾고 있습니다. 2021. 9. 1.
01 . MongoDB 서버 실행 및 클라이언트 접속 MongoDB를 다운로드 하고 C드라이브 아래 파일을 만들어서 가져옵니다.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를 열어주고 cd c"\mongodb 명령어를 통해서 경로로 이동해 줍니다. mkdir test 메모리, 파일, 프로세스 영역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 데이터가 저장될 물리적 경로를 생성해 줍니다. cd bin 아까 mongodb 경로에서 bin 경로로 들어가 주고 mongod --version 저장된 mongoDB 버전이 본인이 설치한 버전인지 체크해 줍니다. mongod --dbpath C:\mongodb\test 이제 아까 만든 test 파일을 경로로 mongoDB의 인스턴스를 활성화 시켜줍니다. ( mongoDB를 시작할 때 사용되는 서버 프로그램인 mongod.exe가 실행됩니다.) 이 단계에서 어떤 장애.. 2021. 8. 31.
10 . SQLD 시험 취소와 최근 공부하고 있는 것 SQLD 시험을 신청했었는데 공모전 두 개가 서류 작업이 생겨서.. 부랴부랴 작업하느라 시험 공부를 너무 못 해서 시험을 취소 했습니다.. 가능하면 경험이다라고 생각하고 보려고 했으나.. 전혀 책을 보질 못 했기 때문에 25000원만 환불 받고 시험을 포기했네요. 요즘은 개강을 해서 스프링, 파이썬, AWS와 데이터 모델링, 하둡, 맵리듀스 등 빅데이터 관련 공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따로 공부한건 Notion에 기록하고 있는데 이걸 이제 정리해서 블로그로 가져오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양이 너무 많고 분류를 어떻게 나누는 게 좋을지 잘 모르겠네요. 노션에서 컨트롤C, V로 끌어올 수 있으면 좋았을텐데.. 그것도 안 되고 조만간 방법을 찾아서 블로그에 복습하는 것을 고려해 보겠습니다. 2021. 8. 30.
09 . SQLD 시험을 신청하다. 이제 한이음 공모전 로그아웃을 구현하고 있는데 세션 적용 때문에 머리가 아픕니다. 비밀번호도 해쉬 함수로 암호화 해서 적용해야 한다고 하는데 아직 방법도 모르겠고 천천히 찾아 적용시켜야 할 것 같습니다. 최근에 SQLD라는 시험을 알게 되어 시험 일자를 봤는데 시험 신청 기간이기도 하고 ( 딱 오늘 마감..) 어차피 해야 하는 SQL이니 복습하는 느낌으로 시험이나 보자 해서 어제 서점에서 SQL 자격 검정 시험 문제집을 구매해 와서 오늘 시험을 신청했습니다. 아직 공부한 건 없고.. 보니까 당장 9월 5일 시험이던데.. 이제 곧 개강에 할 것도 많지만 최대한 문제집 정독을 많이 해 보고 시험을 보러 갈 예정입니다. 2021. 8. 13.
08 . 한이음 공모전 비밀번호 변경 로직을 코딩하다. 비밀번호 변경하는 로직을 코딩했습니다. 처음에는 그냥 단순히 SQL 연동해서 비밀번호를 바꾸는 것을 연습했고 그 다음은 이메일을 연동해서 웹 페이지를 통해 이메일을 보내는 것을 연습했습니다. 그걸 좀 응용해서 오늘은 랜덤 문자와 숫자가 섞인 임시 비밀번호를 회원가입할 때 사용한 이메일 주소로 보내주고 자동으로 보낸 비밀번호를 SQL에 갱신시켜 비밀번호를 바꾸도록 하는 로직을 완성했습니다. 처음하는 것이라 조금 오래 걸렸지만 코드 리뷰를 하면서 익숙해지면 될 것 같습니다. 요즘은 두 공모전을 병행 진행하느라 바쁩니다. 2021. 8. 8.
07 . 임베디드 공모전 마이 페이지를 개발하다. 지금 참여하고 있는 두 개의 공모전 중 임베디드 공모전의 마이 페이지를 스프링에 이식했습니다. 다른 팀원이 만든 마이페이지를 복사해 jsp파일을 생성하고 붙여 넣은 뒤 경로를 맞게 수정했습니다. 이제 본인 정보 값을 불러오는 코드를 짜야 하는데 아직 자세히 몰라서 우선은 경로 수정하고 마쳤습니다. - 한이음 공모전도 어제 마저 수정하던 경로를 모두 수정하고 눌렀을 때 모든 링크가 정상적으로 작동 되도록 조치한 뒤 깃 허브에 업로드 했습니다. - 임베디드 공모전을 하면서 깃 허브에서 ojh 브랜치로 올렸고 master 브랜치로 머지와 푸쉬를 하는 작업을 해 봤습니다. 임베디드 공모전이 한이음 공모전 보다 숙련도 있는 사람들과 하기도 하고 진행 속도도 빨라서 지금 배워둔 것들이 한이음 공모전에서 알뜰하게 쓰.. 2021. 8. 1.
06 . 또 다른 공모전인 한이음 공모전 개발 회의를 진행하다. 공모전을 총 두개 진행하고 있습니다. 임베디드 공모전과 한이음 공모전.. 지금까지 글을 적어 왔던 공모전은 임베디드 공모전에 대한 내용이였고 이번에는 한이음 공모전 개발 회의를 진행해서 글을 적습니다. 한이음 공모전이 좀 더 장기 프로젝트인데 개발 시작이 좀 늦었습니다. 한이음 공모전을 같이 하는 사람들은 1명을 제외하고 모두 다 초보인 사람들만 모여서 그런지 조금 어렵습니다. 하지만 임베디드 공모전을 하면서 많이 배워서 이때 쌓아둔 지식을 한이음 공모전을 하면서 적용시킬 수 있어서 스타트는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오늘은 부트스트랩 템플릿을 정하고 같이 jsp 파일 두 개를 연동해 봤고, 내일까지 나머지 페이지를 모두 연동해 오는 것으로 마무리를 했습니다. 2021. 7. 31.
05 . 공모전 개발 시각화에 들어가다. 아직 아는 게 많이 없기 때문에 실질적인 개발에 도움된 부분은 없지만 개발한 것을 시각화 하는 것에는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른 팀원 한 명이랑 같이 오늘 개발한 프로젝트를 실행 시킬 수 있는 박스를 만들었습니다. 원래는 이 프로젝트 실행 박스를 후딱 만들고 프론트 부분을 개발하고 스프링에 연동시킬 계획이였는데 이게 만드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80%정도 완성시키고 왔습니다. 다른 팀원에게 박스가 너무 크고 견고해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아서 내일은 크기를 줄여 면적을 좁히고 좀 튼튼해 보이게 수정하고 학교에 가져다 두는 일을 한 뒤 프론트와 스프링 연동을 시작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스파르타 코딩클럽에 SQL 강의와 스프링 강의를 공모전에서 지원 받아서 듣고 있는데 SQL 강의를 듣고.. 2021. 7. 29.
04 . 프로젝트 스프링에 주석을 달며 공부하다. 아직 스프링으로 홈페이지 하나 못 만드는 실력이라 다른 멘토 팀원들이 완성시킨 프로젝트를 깃 클론해 왔던 것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Controller , Service 등 완성된 코드에 어떤 작동을 하는지 한줄 한줄 주석을 달며 공부를 하는데 이거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어떤 작동을 하는지 몰랐던 부분도 알게되고.. 어렴풋이 알던 것들도 조금 더 뚜렷하게 알게 되는 과정인 것 같습니다. 구글링을 하며 알아가고 있지만 역시 그럼에도 이해가 잘 안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 지금은 mail 연동해서 보내기 하고 있습니다. 한 번 성공하고 다른 파일 생성 후 또 해 보고 있는데 자꾸 오류가 뜨네요 마저 다 해결하면 정리해서 블로그에 정리할 생각입니다. 2021. 7. 27.
03 . 공모전 깃 허브 초기화 후 다시 클론해 오다. 그 동안 설정했던 공모전 깃 허브에 문제가 있어서 또 다시 초기화 하고 클론했습니다. 이번에는 마스터 깃에서 서버를 빼버리고 클론 받는 사람들도 따로 파일을 만들어서 그 경로로 워크 스페이스를 열어 Git과 프로젝트 파일이 메타 데이터와 서버랑 겹치지 않도록 설정했습니다. 지금 서로 파일이 달라서 혹시 충돌날 수 있으니.. 마스터 깃에서 파일을 올리고 다들 프로젝트 파일을 날리고 다시 클론을 통해 파일을 받아오고 구동 확인 후 서버를 다른 경로에 생성하여 깃 add / commit / push를 하고 마무리 했습니다. - 지금까지 만들어진 프로젝트 파일에 각 줄마다 알맞는 주석을 달면서 공부하는 공모전 개인 과제가 생겼습니다. 주석을 달면서 모르는 것을 구글링하여 지식을 넓혀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 7.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