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발전소316

[TIL] : 179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MongoDB 몽고디비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간단하게 만들어봤다. 2022.04.23 - [Data Base/MongoDB] - [MongoDB] : Spring Boot 웹 크롤링하여 MongoDB에 데이터 넣고 조회하기 스터디 오늘 스터디도 잘 마쳤다. 이제 1회차만 남겨두고 있다. 2022.04.23 - [발전소/동아리 및 스터디] - [코딩 스터디 2기] : 8주차 2022. 4. 23.
[코딩 스터디 2기] : 8주차 오늘 스터디도 잘 마무리했다. 쌤 한 명이 전 날에 과음으로 참여하지 못 하셨지만 다른 쌤들은 모두 참여했다. https://ohju96.notion.site/8-9da12734cb834f06bff0a8a61d9f1e30 8주차 리뷰 ohju96.notion.site 한 주간 공부한 내용을 첨부하고 이번에 Filter 구현한 것을 발표하고 몇 가지 피드백을 받았다. 스터디 시간에는 Melon 인기 차트를 크롤링해와서 MongoDB에 넣는 코드를 짰고 작동 확인까지 하고 마무리했다. 2022. 4. 23.
[TIL] : 178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알고리즘 소수 찾기 관련 알고리즘을 다시 봤다. MongoDB 프로젝트에서 MongoDB를 사용해야 하는데 아직 활용을 잘 할 줄 몰라서 천천히 작은 프로젝트로 연습해 보고 있는 중이다. 2022.04.22 - [Data Base/MongoDB] - [MongoDB] : MongoDB란? 2022.04.22 - [Data Base/MongoDB] - [MongoDB] : CentOS에서 MongoDB 설치 및 셋팅하기 2022.04.22 - [Data Base/MongoDB] - [MongoDB] : Data Grip으로 MongoDB 외부 접속하기 2022.04.22 - [Data Base/MongoDB] - [MongoDB] : Spring Boot .. 2022. 4. 22.
[TIL] : 177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카카오 주소 API를 가져와서 적용했다. 너무 잘 만들어져서 내가 그닥 터치할 게 없었다. 2022.04.21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카카오 주소 API 사용하기 Hadoop 하둡 본격 실습 전에 미리 셋팅을 해뒀다. 서버는 총 3대이다. 셋팅 모두 마치고 리소스매니저까지 띄우고 종료했다. 2022.04.21 - [Data Base/Hadoop] - [Hadoop] : CentOS에 하둡 설치하기 2022.04.21 - [Data Base/Hadoop] - [Hadoop] : 하둡 디렉토리 구조 파악하기 2022.04.21 - [Data Base/Hadoop] - [Hadoop] : 하둡 저장 디렉토리 생성 및 권한 부여하기.. 2022. 4. 21.
[TIL] : 176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 Hadoop 하둡 실습 셋팅을 진행하고 있다. Notion에서 먼저 체크하고 실행하고 정상 동작을 확인하고 넘어가고 있다. 2022.04.20 - [Data Base/Hadoop] - [Hadoop] : 하둡을 위한 CentOS 설치 및 환경 셋팅 2022.04.20 - [Data Base/Hadoop] - [Hadoop] : master Server, Slave Server1, 2 설정하기 2022.04.20 - [Data Base/Hadoop] - [Hadoop] : 하둡 계정 생성하고 권한 주기 2022.04.20 - [Data Base/Hadoop] - [Hadoop] : 하둡 외부 접속 및 SSH 생성 2022.04.20 - [Data.. 2022. 4. 20.
[TIL] : 175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R R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 공부를 했다. 사실 더 많이 실행시켰는데 Notion에 적어둬서 한 번에 옮기는 게 어렵다. 천천히 옮겨야겠다. 2022.04.19 - [프로그래밍언어/R] - [R] : R에서 외부 데이터 읽기 2022.04.19 - [프로그래밍언어/R] - [R] : 표로 데이터 정리하기 2022.04.19 - [프로그래밍언어/R] - [R] : 여러 종류 벡터 만들기 2022.04.19 - [프로그래밍언어/R] - [R] : 여러 개의 벡터를 만들어 데이터프레임을 만든다. 2022.04.19 - [프로그래밍언어/R] - [R] :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와 변수 선택하기를 진행한다. 2022.04.19 - [프로그래밍언어/R] - [R] :.. 2022. 4. 19.
[TIL] : 174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알고리즘 알고리즘 한 문제를 풀었다. H지수에 대한 간단한 이해가 필요한 문제였다. 2022.04.18 - [Algorithm/프로그래머스] - [프로그래머스] : H-Index Python,파이썬 풀이 소경관 회원가입 검증 로직을 다듬어주었다. 이 다음은 로그인 검증을 코딩해 주어야 한다. 2022.04.18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회원가입 로직 검증 다듬어주기, Spring Bean Validator 사용 2022. 4. 18.
[TIL] : 173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Session을 로그인에 적용하고, 로그아웃을 구현했다. Filter를 통해 미인증 사용자도 체크하는 로직을 완료했다. 2022.04.17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Session 적용하기 2022.04.17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Session으로 logout 구현하기 2022.04.17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Filter 적용하여 미인증 사용자 체크하기 Kotlin Kotlin in Action 책을 보면서 공부하고 있다. 천천히 시작해서 6월까지 1부를 다 읽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2.04.17 - [프로그래밍언어/Kotlin] - [Kotlin] : 코틀린이란 무엇이며 .. 2022. 4. 17.
[TIL] : 172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Kotlin 천천히 코틀린 공부를 시작했다. 공식 문서를 참고해 천천히 볼 예정이다. 2022.04.16 - [프로그래밍언어/Kotlin] - [Kotlin] : Hello World부터 when까지 공식 문서 참고해서 공부하기 소경관 피드백 받은 곳을 체크해 보고 이제 해야 할 기능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 지 찾아보고 있다. 코드는 적용하고 다시 롤백 해 둔 상태이다. 스터디 오늘 스터디 참석률은 저조했다. 2022.04.16 - [발전소/동아리 및 스터디] - [코딩 스터디 2기] : 7주차 2022. 4. 16.
[코딩 스터디 2기] : 7주차 오늘은 스터디에 나랑 동기인 쌤 밖에 없었다. 각자 사정이 있으셔서 오늘 참석률은 좋지 못 했지만 다음주는 다시 같이 하게 될 것 같다. 오늘 스터디 전에 어제 구현한 기능에 대해 피드백을 받고 체크해 봤다. 지금 만들고 있는 프로젝트도 이제 어떤 기능을 구현해야 할지 체크해 보고 발표와 리뷰는 두 명이서 진행했다. 2022. 4. 16.
[TIL] : 171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오늘 로그인 기능을 구현했다. 아직 검증 부분과 실패 시 메시지 체크는 구현하지 못 했지만 로그인 기능 자체 구현은 성공했다. 처음 사용해 보고 처음 배우는 기술로 하다 보니 시간이 오래 걸렸다. 2022.04.15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thymeleaf와 JPA, builder 패턴을 사용하여 로그인 구현하기 2022. 4. 15.
[TIL] : 170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요즘 하루 종일 프로젝트만 만지고 있다. 배운 기술을 사용하기 보다는 내가 따로 공부한 기술을 다시 복습 하면서 적용해 가고 있다. 때문에 모르는 내용이 많기도 하고 자주 막히기도 하지만 계속 찾아보고 해결하다 보니 점점 발전하고 있는 것 같다. 2022.04.14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JPA와 builder 패턴을 사용한 회원 가입 및 Id, Email 중복 체크 로직 코딩하기 2022. 4. 14.
[TIL] : 169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builder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지 더 찾아보고 있다. 2022.04.13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builder에 값을 넣는 다른 방법 JPA JPA 지식이 많이 부족해서 일단 공부를 해야할 것 같다. 회원가입, 로그인, 수정, 삭제 등 기본 CRUD 로직은 다룰 수 있게 만들어야겠다. 2022.04.13 - [Data Base/JPA] - [JPA] : 일대다, 1:N 2022.04.13 - [Data Base/JPA] - [JPA] : 일대일, 1:1 2022. 4. 13.
[TIL] : 168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며칠 헤매던 Builder 패턴을 적용했다. 뭔가 자꾸 하면서 곧 잡힐 듯 말 듯한 느낌을 받았는데 실제로 살짝 수정을 통해 정상적으로 기능을 되돌릴 수 있었다. 이제는 유효성 체크를 위해 검증 로직을 도입해볼까 하는데.. 막막하다. 분명 김영한님 강의에서 열심히 했는데 막상 혼자 해보려니 느낌이 또 다르다. 2022.04.12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Entity를 @Setter없이 View에서 Controller로 값을 받아와 @Builder를 통해 DB에 넣기 2022. 4. 12.
[TIL] : 167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JPA 활용법에 슬슬 익숙해지고 있다. 처음에 강의를 들으면서 프로젝트를 하기 시작해서 뭔가 내 프로젝트에서 JPA를 쓰는 부분이 적다고 판단해 따로 공부해서 적용하려 했으나 역시 기초 베이스가 없으니 다른 글을 봐도 알아보기가 어렵다. 천천히 수확을 내고 있고 아무래도 JPA강의를 먼저 빠르게 들어봐야겠다. 2022.04.11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지옥의 Builder JPA JPA를 공부했다. 프로젝트에 적용하다 부족하다 생각해서 강의를 마저 듣고 있다. 2022.04.11 - [Data Base/JPA] - [JPA] : 다대일, N:1 2022. 4. 11.
[TIL] : 166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하고 있던 JPA 사용법을 간단하게 찾아보고 적용하고 있다. 오늘은 길게 공부를 안 하고 짧게 체크하고 넘어간다. 2022.04.10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새벽에 공부한 내용 체크와 리프레쉬 2022. 4. 10.
[TIL] : 165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CS 지식 어제 공부한 Hash table에서 생기는 충돌에 대한 공부를 마저 진행했다. 2022.04.09 - [노트/CS 노트] - [CS 노트] : Hash table에서 Collistion 해결하기 JPA JPA 연관관계를 공부한 것을 이제 전에 만들던 프로젝트에 적용해서 다시 사용해 봤다. 2022.04.09 - [Data Base/JPA] - [JPA] : 연관관계 매핑 시작하기 프로젝트 JPA를 공부하면서 적용하려니 어려운 부분이 확실히 있다. 공부 후 적용을 했어야 하는데 욕심인가 싶지만 그래도 최대한 빨리 체크해 완성해야겠다. 아마 조만간 프로젝트에 신경을 많이 써야하지 않을까 싶다. 2022.04.09 - [Project/소경관] - [.. 2022. 4. 9.
[코딩 스터디 2기] : 6주차 이번주 스터디 링크 6주차 오늘의 특이 사항 쌤 한 분이 개인 사정으로 참석을 못 하셨다. 요즘 공부하고 있는 CS 지식에 대해 발표하고 리뷰했다. CS 지식 외 프로젝트와 JPA에 대해 공부하였는데 간단하게 설명하기가 CS 지식이 더 좋기도 하고 유익할 것 같아 주제를 CS 지식으로 선택했다. 스터디 시작 후 공부 Hash table Collision에 대해 공부했다. JPA 강의를 하나 들었다. 어제 강의 커뮤니티에 질문한 내용에 답변이 달렸다. JPA를 공부할 때 연관관계가 중요하니 복습을 하면서 테이블과 관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체크해 보라고 했다. 오늘 이 부분을 체크했다. 더해서 추가로 강의 하나를 더 들었다.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막히는 점 개인 프로젝트에서 막혔다. 다른 쌤들은 무엇.. 2022. 4. 9.
[TIL] : 164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간단하게 프로젝트 중 DTO와 Entity를 분리하고 생성자를 하나 만들어줬다. 2022.04.08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프로젝트 패키지 구조 고민 및 Entity와 DTO의 분리 인터뷰 간단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나는 발표를 진짜 너무 못 했다. 목소리도 너무 떨리고 긴장도 심하게 되었다. 그래도 스터디에서 간단한 발표를 매주 하면서 발전이 있었나, 온라인이라 힘이 생긴건가 그래도 엄청 떨거나..(목소리가 자동 바이브레이션 되는 경우..) 엄청 긴장(눈이 검해진다..피가 쏠린다..)하진 않았다. 중간에 숨이 빨라져 좀 떨리긴 했는데 그래도 애써 침착해 숨을 내쉬면서 떨림을 멈추려고 노력했다. 생각 정리 머릿속이 복잡해서 .. 2022. 4. 8.
[생각정리] : 떠올려보지 못한 것을 떠올리는 것 ! 떠올려보지 못한 것을 떠올리는 것 ! 오늘의 주제는 떠올려보지 못한 것을 떠올리는 것이다. 생각 정리는 따로 글을 계획하고 쓰는 것이 아니다. 머릿속이 복잡할 때 글로 자꾸 뱉어내면서 생각을 비워내기 위해 쓴다. 나는 평소에 머릿속에 생각이 많이 있다. 그게 아이디어가 될 수도 있고, 내가 배우고 싶은 것에 대해 생각을 하는 것 일 수도 있고, 지금 내가 공부하는 것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에 대한 생각이 될 수도 있다. 오늘도 내 머릿속에서 복잡한 생각들이 마구마구 스쳐지나간다. 지금 당장 이렇게 글로 정리하지 않으면 공부가 머리에 안 들어올 것 같다. 사실 더 솔직하게 말 하면 아까 JPA에 대해 공부하면서 연관관계에 대해 열심히 탐구(?)를 했는데 머릿속에 뭐가 더 들어오지 않아 비워내는 중이다.(.. 2022. 4. 8.
[TIL] : 163 일일 배움을 위한 Today I Learned ! 소경관 AWS에 새로 인스턴스를 파서 다시 DB를 연동했다. 이번에는 GUI의 힘을 빌리지 않고 코드로 완성시켜봤다. 익숙해서 금방할 줄 알았지만 익숙한데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오류를 만나는 신기한 경험을 했다. 그리고 오늘 처음으로 JPA를 사용해 봤다. 강의에서 적용한 것 외 내가 공부한 것을 스스로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성공했따. 간단한 성공이지만 앞으로 발전할 수 있기도 하고 아직 못 써본 기술들이 밀려 있는 게 기대가 된다. 2022.04.07 - [Project/소경관] - [소경관] : 다시 AWS EC2 Ubuntu에 MongoDB, MariaDB 세팅 후 연동 및 JPA 테이블 자동 생성 완성 오류 노트 오류를 하나 발견해서 해결하고 해결 .. 2022. 4.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