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임스페이스는 YAML 파일에 정의해 사용이 가능하다.
apiCersion: v1
kind: Namespace
metadata:
name: production
YAML 파일을 적어준다.
kubectl apply -f production-namespace.yaml
kubectl create namespace production
둘 중 하나의 명령어로 생성이 가능하다.
kubectl get ns | grep production
production이라는 네임스페이스가 정상 생성이 되었는지 체크한다.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모든 네임스페이스의 리소스를 확인할 수 있다.
📖 ← [ 시작하세요! 도커/쿠버네티스 ] 책을 참고하여 공부하였습니다.
반응형
'DevOps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 네임스페이스에 종속되는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와 독립적인 오브젝트 (0) | 2022.03.24 |
---|---|
[Kubernetes] : 네임스페이스의 서비스에 접근하기 (0) | 2022.03.24 |
[Kubernetes] : 네임스페이스 기본 이해 (0) | 2022.03.23 |
[Kubernetes] : 네임스페이스(Namespace) 언급. (0) | 2022.03.23 |
[Kubernetes] :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LoadBalancer 타입의 서비스 사용 (0) | 2022.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