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oadBalancer 타입의 서비스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사용되지만 필요에 따라 직접 보유하고 있는 온프레미스 서버에서도 LoadBalancer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쿠버네티스가 직접 제공하는 기능은 아니고 MetaILB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사용하면 된다. 단, 유지보수가 지속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하고 공식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 ← [ 시작하세요! 도커/쿠버네티스 ] 책을 참고하여 공부하였습니다.
반응형
'DevOps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 네임스페이스 기본 이해 (0) | 2022.03.23 |
---|---|
[Kubernetes] : 네임스페이스(Namespace) 언급. (0) | 2022.03.23 |
[Kubernetes] : Service 종류 (0) | 2022.03.21 |
[Kubernetes] : Service : 포드를 연결하고 외부에 노출하기 (0) | 2022.03.21 |
[Kubernetes] : 디플로이먼트를 사용하는 간단한 이유 (0) | 2022.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