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포드에 접근할 수 있는 규칙을 정의하는 서비스 리소스를 생성해야 하는데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에 따라 종류가 여러 개로 세분화 된다.
자주 사용되는 서비스 타입은 아래와 같다.
- ClusterIP 타입
- 쿠버네티스 내부에서만 포드에 접근할 때 사용한다. 외부에 노출하지 않아 클러스터 내부에서 사용되는 포드에 적합하다.
- NodePort 타입
- 포드에 접근할 수 있는 포트를 클러스터의 모든 노드에 동일하게 개방해 외부에서 포드에 접근할 수 있다. 접근 가능한 포트는 랜덤이고 특정 포트로 접근하게 설정도 할 수 있다.
- LoadBalancer 타입
-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로드 밸런서를 동적으로 프로비저닝해 포드에 연결한다. 외부에서 포드에 접근할 수 있지만 AWS, GCP 등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포드에 접근하는 방식이나 환경에 따라 알맞게 사용하면 된다.
📖 ← [ 시작하세요! 도커/쿠버네티스 ] 책을 참고하여 공부하였습니다.
반응형
'DevOps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 네임스페이스(Namespace) 언급. (0) | 2022.03.23 |
---|---|
[Kubernetes] :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LoadBalancer 타입의 서비스 사용 (0) | 2022.03.22 |
[Kubernetes] : Service : 포드를 연결하고 외부에 노출하기 (0) | 2022.03.21 |
[Kubernetes] : 디플로이먼트를 사용하는 간단한 이유 (0) | 2022.03.21 |
[Kubernetes] : 디플로이먼트 사용하기 (0) | 2022.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