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노테이션2 [JPA] : 필드와 컬럼 매핑 @Id @Column(name = "name") @Enumerated(EnumType.STRING) @Temporal(TemporalType.TIMESTAMP) @Temporal(TemporalType.TIMESTAMP) @Lob //varchar를 넘어서는 큰 데이터를 사용할 때 매핑 어노테이션을 몇 가지 보면 위와 같다. Column으로 컬럼을 매핑한다. temporal으로 날짜 타입을 매핑한다. 세 가지를 지원한다. 요즘에는 temporal보다 LocalDate를 그냥 사용한다. Enumerated enum 타입을 매핑한다. DB에는 enum타입이 없을 수 있으므로 EnumType로 값을 설정해 준다. enum의 ordinal을 사용하면 순서에 대한 오류가 터질 수 있다. → String을 사용하자.. 2022. 4. 5. [Spring Boot] : Spring MVC 시작 스프링이 제공하는 컨트롤러는 어노테이션 기반으로 동작해 매우 유연하고 실용적이다. 원래 예전에 여러 프레임워크들이 있었는데 @RequestMapping 기반의 어노테이션 컨트롤러가 등장하면서 MVC 부분에서 스프링이 흥하게 되었다고 한다. 실무에서 주로 사용하는 핸들러 매핑과 어댑터는 RequestMappingHandlerMapping과 RequestMappingHandlerAdapter이라고 한다. 이번에는 기존에 사용한 컨트롤러를 @RequestMapping 기반의 스프링 MVC 컨트롤러로 바꿔보는 진도를 나간다. @Controller public class SpringMemberFormControllerV1 { @RequestMapping("/springmvc/v1/members/new-form").. 2022. 1.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