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회원가입 로직을 짜려고 했는데 시작부터 바로 막혔다.
- JPA를 사용해 본 적이 없기도 하고 Entity를 사용해 본 적이 없기도 해서 막혔다.
- 오늘 스터디부터 쭉 찾아보면서 알아낸 것을 간단히 정리해 본다.
- 지금까지 캐치한 것
- JPA를 처음 사용해 보면서 DTO대신 Entity를 사용했는데 Entity 사용법이 어렵다.
- 먼저, Entity는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Setter를 사용하면 안 된다.
- 때문에 따로 생성자를 만들거나 Builder를 사용해야 한다.
- 또, Entity를 DTO로 매핑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있는 것 같다.
- Builder를 만들 수 있지만 @Builder 어노테이션을 활용해 쉽게 만들 수도 있는 것 같다.
- 문제
- 캐치한 것에 대한 확신이 없다.
- 왜? → 구현을 해 본 적이 없어서.
- 캐치한 것에 대한 확신이 없다.
- 나는 어떻게 해봤나?
@Data public class UserDTO { private Long userNo;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userPn; private String userEmail; private String userId; private String userPw; private String userAddr;
- DTO를 먼저 Entity 컬럼과 똑같이 만들어 주었다.
- @Data 어노테이션을 사용했다.
- Setter 가능
@Builder
public UserEntity(UserDTO userDTO) {
this.userName = userDTO.getUserName();
this.userPn = userDTO.getUserPn();
this.userEmail = userDTO.getUserEmail();
this.userId = userDTO.getUserId();
this.userPw = userDTO.getUserPw();
this.userAddr = userDTO.getUserAddr();
}
- Entity에서 DTO를 매핑시켰다.
- 확신이 안 서는 점
- @Builder가 자동으로 생성자를 만들어 주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렇게 사용해도 되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
- 오늘
- JPA한 내용이 매우 적어 보인다.
- 오늘은 검색만 4시간 이상 하면서 찾아봤다.
- JPA를 사용해 본 적이 한 번도 없어서 검색으로 공부하고 있다.
- 강의를 빨리 들을까 싶지만, 강의를 다 듣고 공부할 시간은 없다.
- 빨리 검색을 통해 우선은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나중에 강의로 보강해야겠다.
- 이게 김영한 강사님이 말한 야생형인가 싶다..
반응형
'Project > 소경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경관] : 지옥의 Builder (0) | 2022.04.11 |
---|---|
[소경관] : 새벽에 공부한 내용 체크와 리프레쉬 (0) | 2022.04.10 |
[소경관] : 프로젝트 패키지 구조 고민 및 Entity와 DTO의 분리 (0) | 2022.04.08 |
[소경관] : 다시 AWS EC2 Ubuntu에 MongoDB, MariaDB 세팅 후 연동 및 JPA 테이블 자동 생성 완성 (0) | 2022.04.07 |
[소경관] : 로컬 데이터베이스 설정 및 프론트 마저 진행하기 (0) | 2022.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