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ta Base/Data Modeling (DA#)

[Data Modelling] : 3차 정규화

by 오주현 2021. 11. 5.
반응형
복습

 

정규화

논리 데이터 모델을 일관성이 있고 안정성 있는 자료구조로 만드는 단계입니다.

 

정규화 의미

- 입력 이상

 # 릴레이션에 새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해 원치않는 불필요한 데이터도 함께 삽입해야 하는 문제

 

- 삭제 이상

 #릴레이션에서 데이터를 삭제하면 꼭 필요한 데이터까지 함께 삭제하여 데이터가 손실되는 연쇄 삭제 현상

 

- 갱신 이상

 # 릴레이션의 중복된 데이터들 중 일부만 수정하여 데이터가 불일치하게 되는 모순이 발생하는 것

 

-

 

저번에 이어 정규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10.29 - [Data Base/DA#] - [DA#] : 정규화 정의 및 제1정규화, 제2정규화

 

[DA#] : 정규화 정의 및 제1정규화, 제2정규화

정규화 (Normalization) - 논리 데이터 모델을 일관성이 있고 안정성 있는 자료구조로 만드는 단계입니다. - 정규화 의미 # 엔터티에 데이터를 삽입, 수정, 삭제할 때 오류가 발생할 개연성을 가지고

ohju.tistory.com

 


3차 정규화

- 정의

 # 2차 정규화를 만족하고 식별자를 제외한 나머지 속성들 간의 종속이 존재하면 안 됩니다.

 # 일반 속성끼리 종속성을 제거하는 것 입니다.

 # 3차 정규화는 UID BAR가 없는 관계를 상속 합니다.

 ( UID를 만들면 식별자가 바뀌는 문제가 있습니다. )

 

3차 정규형을 위반하고 있을 시에는 평가항목 엔터티처럼 부모 엔터티가 생성되고 그 부모 엔터티로부터 UID Bar가 없는 관계를 상속 받게 됩니다.

 

3차 정규화는 일반 속성들 간에 종속적인게 있다면 그것을 부모 엔터티로 만들고 UDI Bar가 없는 릴레이션을 만들어주면 됩니다.

 

3정규화만 진행했습니다. 

이번에도 똑같이 부모 엔터티가 생성되고 그 부모 엔터티로부터 UID Bar가 없는 관계를 상속 받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