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의를 듣다 보면 domain, vo, repository, dao가 자주 나오고 내가 사용했던 DTO 또한 자주 나온다.
비슷한 개념 같은데 헷갈리는 부분에 대해서 찾아봤다.
우선 vo는 2가지 의미로 사용된다고 한다.
- 단순히 데이터 값을 전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객체
- 이 경우 DTO라고도 부른다.
- DTO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객체이기 때문이다.
- 도메인 주도 설계에서 이야기하는 값 객체(Value Object)
- vo라고 하면 이 의미로 생각하면 된다.
repository와 dao는 거의 같다고 봐도 무방하고 깊게 보자면 repository는 엔티티 객체를 보관하는 저장소, dao는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DB 접근 관련 로직을 모아둔 객체이다. 하지만 개념 차이일 뿐이고 실무에서는 비슷하게 사용된다고 한다.
📝 ←이 글을 참고하면 된다.
반응형
'노트 > 질문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문 노트] : 개발 설계 산출물 작성하는 방법 (0) | 2022.03.10 |
---|---|
[질문 노트] : Model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0) | 2022.02.03 |
[질문 노트] : Spring Boot 프로젝트 폴더 구조는 어떻게 만드는 게 좋을까? (0) | 2022.02.02 |
[질문 노트] : MVC 패턴이 무엇인가요? (0) | 2021.12.19 |
[질문노트] : JDBC가 무엇인가요? (0) | 2021.12.19 |
댓글